비지니스를 이끄는 두가지 힘.

돈의 순환에는 두개의 힘이 존재한다.  돈을 벌기 위해  마음을 냉장고에 넣는 자기중심의 힘과,  사회에 대한 책임을 지고 마음 껏 하는 사명감으로 부터 오는 힘이다.  물론 많은 경우엔 두가지 힘이 서로 어울려 가면서 힘의 강약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수많은 성공한 기업인들중에는 내가 그동안 받아온 정보와는 훨씬 다른 “돈을 벌기 위해 정글의 법칙을 지켜야 한다”는 이론과 다른, 조용하면서도 정의롭고 사회의 든든한 뿌리의 역할을 담당하는 자들이 많다는 것이였다.  그중에 경영학의 大师로 알려진 피터 드러크, 그리고 그의 “경영의 실재”의 책을 독자들에게 이 글과 함께 추천한다.

“경영의 실제”는 피터 드러커가 1954년에 쓴 경영학의 고전이다.  동대구역에서 차를 기다리면서 영화 한편을 볼려다가 마음에 드는 것 없어서 우연히 들린 알라딘 중고 서점에서 산 책이지만  이 책 한권으로  피터 드러커는 앞으로 세상속에 경영을 운영하는 과정속에서는 이 분야의 평생의 스승이 되기엔 충분하다 .

드러커는 이 책에서 탁월한 통찰력으로 ‘경영은 무엇’이고, ‘경영자는 누구’이며, ‘경영자가 할 일’이 무엇인지 말하고 있다.  그는 기업가와 근로자에 대한 기업의 첫 번째 책임을 ‘적정한 이윤 창출’로 내세웠다. 그는 경영자의 직무로 ‘기업 경영, 경영자 관리, 근로자와 일 관리’라고 했다. 경영자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목표 관리(Management by Objective), 경영자 양성과 관리, 근로자 동기 부여, 인적 자원 관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조직의 목적을 ‘평범한 사람이 비범한 일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드러커는 개인의 비전을 보다 높은 것으로 높이고, 개인의 성과를 좀 더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며, 개인의 타고난 개성을 더욱 성숙하게 만드는 일이 ‘리더십’이라고 설명했다.  또 “생산성은 태도의 문제”라면서 “경영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질은 성실성(integrity)”이라고 한 것은 참으로 탁월한 통찰력이다.

한마디로 경영은 ‘사람에 관한 것(About Human Beings)’이라고 설파한 드러커의 경영 철학이 담긴 이 책은 작은 가게에서 부터 하나 둘 규모있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조선족 사회의 기업인들한테는 필수로 할 만큼  움직이는 경영의 바이블이 되길 바란다.  여기에 사족처럼 곁들이고 싶다.  문학, 역사, 철학 등에 대한 공부를 통해 인간에 대한 넓고 깊은 이해와 통찰력 있는 이들이 기업과 조선족사회, 나라를 이바지 하는  경영자로 나서기를 간절히 소망한다.